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036 크롬 브라우저 캐시 사용 안하는 방법 Chrome 브라우저에서 캐시 기능을 사용하지 않으려는 경우에는 F12를 누르고 Network 탭으로 이동한 뒤 Disable cache를 체크하고 새로고침을 한번 해주면 크롬 브라우저에서 캐시를 사용하지 않게 된다 2022. 5. 6. Sourcetree Stash 사용방법 정리 Git 에서 Stash의 용도는 수정한 파일을 임시로 Stash에 저장해 둔 후 branch를 변경해도 Stash는 남아있기 때문에 Stash에서 수정해 놓은 내용을 끌어다 쓸 수 있는데 개발 중 여러 branch를 사용할 경우 Stash가 굉장히 유용하다 그래서 Sourcetree의 경우 Stash를 사용하려면 Workspace의 File Status를 눌러주고 Stash로 만들 파일을 선택한 후 상단의 Stash를 눌러주자 이러면 Stash 명을 설정하라고 뜨는데 본인이 보기 쉽게 설정하고 OK를 눌러주면 왼쪽의 Stashes 부분에 Stash가 생성된 것이 보이는데 이걸 클릭해서 해당 Stash에 수정한 파일과 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우클릭 후 Apply Stash를 눌러주면 현재 사용하고 있는 b.. 2022. 5. 4. Mac vi vim 커서 마우스로 이동방법 Mac에서 Terminal로 vi(vim) 사용 시 현재 지정된 커서 위치를 마우스로 변경하려면 ESC를 누른 후 마우스로 이동하려는 곳에 클릭한 뒤 I를 눌러 다시 편집모드로 들어가면 마우스로 원하는 위치에 커서를 놓을 수 있게 된다 2022. 5. 4. Github Pull Request 없이 branch 비교방법 깃허브에서 Repository 내 두 branch를 비교하려는 경우 꼭 Pull Request를 만들지 않고도 비교가 가능한데 위 이미지와 같이 Github Repository로 들어온 후 /compare/branch..branch2 를 넣어주거나 혹은 /compare/branch...branch2 를 사용해주면 되는데 .을 2개 넣을 경우에는 두 branch 간 단순 비교만 해주고 .을 3개 넣을 경우에는 우측 branch를 좌측 branch로 Pull Request를 만드는 창을 띄워주게 된다 Create pull request를 누르면 Pull Request가 만들어지는 셈이다 2022. 5. 3. Sourcetree 프로젝트 추가 방법 Sourcetree에서 내가 가지고 있는 프로젝트를 추가하려고 하는 경우 Sourcetree 추가화면에서 우측에 보이는 Browse를 눌러준 후 workspace에 있는 프로젝트 폴더를 선택한 뒤 ( 깃이 연동되어 있는 프로젝트여야 함 .git 들어있는.. ) Add를 눌러주자 Add 까지 해 주니 소스트리에 내 프로젝트가 잘 연결된 것이 보인다 2022. 4. 28. Sourcetree 언어 변경방법 소스트리를 처음 설정하면 기본 언어가 한글로 설정되어 있는데 보기 편해 보이기는 하지만 실 사용하기에는 좀 불편한 만큼 영어로 변경을 해보자면 상단의 도구를 누른 후 옵션을 눌러주자 옵션으로 들어온 후 언어를 클릭한 후 자동에서 English로 바꿔준 후 확인을 누르고 Sourcetree를 다시 실행해보면 언어가 영어로 바뀐 것이 보인다 2022. 4. 27. 이전 1 ··· 33 34 35 36 37 38 39 ··· 17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