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036 Github Pull Request Merge 후 취소방법 Github에서 Pull request를 사용해서 특정 branch를 merge 시킨 경우 merge 내용이 잘못되어 걷어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Github > Pull Request 에서 해당 Pull Request로 이동한 뒤 우측에 있는 Revert를 눌러주면 내가 Merge로 넣은 내용을 모두 뽑아낼 수 있다 이후 이런 창이 나오는데 Revert와 동시에 revert-branch명 branch가 만들어지고 Create pull request 후 다시 merge를 하면 뽑아냈던 내용을 다시 밀어넣을 수 있다 2022. 5. 12. 자바 BigDecimal 값 비교 방법 Java에서 BigDecimal 사용 시 두 BigDecimal을 서로 비교하거나 혹은 0보다 큰지 비교해야 할 경우가 있는데 먼저 두 BigDecimal을 비교할 경우에는 BigDecimal값.compareTo(BigDecimal값2) 를 사용해주면 왼쪽 값이 우측보다 클 경우에는 1 같을 경우에는 0 작을 경우에는 -1을 반환한다 반면 BigDecimal 값이 양수, 0, 음수인지만 확인하면 될 경우에는 BigDecimal값.signum() 을 사용해주면 음수면 -1 0이면 0 양수면 1을 반환한다 2022. 5. 11. Sourcetree commit과 동시에 push하는 방법 소스트리에서 commit 시 따로 push를 하지 않고 commit과 동시에 push를 해주려면 commit 시 왼쪽 하단 위치한 Push changes immediately to origin/branch명 을 체크한 후 Commit을 눌러주면 Commit과 동시에 Push가 된다 2022. 5. 11. Sourcetree 이전 commit comment 수정방법 소스트리에서 이전 commit에 사용한 comment를 변경하려는 경우 commit을 누르고 우측 하단의 Commit options를 누른 뒤 Amend latest commit을 누르면 이전에 사용한 커밋 코멘트가 나오는데 원하는 내용으로 다시 변경해준 후 우측 하단의 Commit을 눌러주자 commit 후 history를 확인해보면 comment가 정상적으로 변경된 것이 보인다 다음은 Push를 한 후에 Amend latest commit을 사용해서 comment를 변경해주면 [rejected] 브랜치명 -> 브랜치명 (non-fast-forward) error: failed to push some refs to .git경로 이런 에러가 발생하는 것이 보이는데 먼저 comment를 변경하고 commi.. 2022. 5. 11. Git push 후 이전 상태로 되돌리는 방법 Git에 Push를 한 내역을 취소하고 이전 상태로 되돌리려면 git reset 이전_커밋값 git push -f origin 현재_branch명 순으로 입력을 해 주면 Push 전 상태로 이동한 뒤 (git reset 이전_커밋값) push 전 commit을 최신 commit으로 맞춰 push를 하게 되는데 (git push -f origin 현재_branch명) 이러면 git은 push 전 상태로 돌아가되 push 했을 때 올라간 파일들은 수정한 내역에 남게 되므로 원하는 파일만 선택해서 다시 Push를 해주면 된다 2022. 5. 11. git stash 삭제방법 git stash drop - 가장 최근에 만든 stash 삭제 git stash drop stash@{0} - 특정 stash id 삭제(git stash list 치면 나오는 id) git stash clear - 모든 stash를 삭제 2022. 5. 10. 이전 1 ··· 31 32 33 34 35 36 37 ··· 17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