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Language/Java133

자바 UUID란? 개념부터 생성, 사용법 정리 자바에서 UUID란 범용 고유 식별자(Universally Unique Identifiers)를 말하는데 이게 뭔 말이냐면 각 개체를 고유하게 식별 가능한 값을 말한다 예를 들어 여러 시스템(ㅁㅁ전자, ㅁㅁ중공업)에서 식별자를 서로 만드는데(Key에 해당하는 ID) 처음에야 다르겠지만 시스템이 늘어나고 커질수록 결국 중복이 나오게 된다 여기서 중복이 나오면 식별을 못하기 때문에 A1234가 ㅁㅁ 전자의 김철수인지 ㅁㅁ 중공업의 배철수인지 구별을 못하게 되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UUID를 사용하면 위 이미지의 규칙에 따라 식별자를 만들기 때문에 중복을 완전히 방지하는 것은 아니지만 집에서 자다가 트럭에 받혀서 사망하는 수준으로 중복이 날 확률이 낮아지게 된다는 것이다 이제 실제 자바에서 UUID를 생성해 .. 2020. 10. 28.
자바 import 예제 및 개념정리 자바에서 import는 다른 패키지의 자바, 클래스 파일을 끌어올 때 쓰는데 이게 전부기 때문에 비유등의 이상한 방법으로 이해하려고 해서는 안된다 import는 다른 패키지의 자바와 클래스를 끌어오는 거고 그걸로 끝이다 왜 import를 굳이 만들어서 쓰는거냐면 자바 파일 하나에 사용하지도 않을 모든 내용을 넣어두면 낭비고 필요한 내용만 import 시켜서 쓰는게 훨씬 낫기 때문이다 위 예제를 보면 pkg2 패키지의 Test1 자바 파일을 import 시켰는데 import를 사용하면 해당 자바나 클래스에 있는 내용들을 맘대로 갖다 쓸 수 있게 된다 같은 패키지라면 객체화를 해서 꺼내다 쓰게 되지만 다른 패키지라면 import를 사용한다는 것이 차이점이 되겠다 import는 자바 파일이나 클래스명을 입력한.. 2020. 10. 21.
자바 WAR 개념, 생성부터 배포까지 정리 자바에서 WAR란 Web application ARchive의 약자인데 여러 블로그에서 설명해 놓은 내용을 보니 서블릿, java, html, xml을 포함하고 servlet context를 접근하기 위해 패키지화 기타등등 불라불라 이런 식으로 써 놓아서 전혀 이해가 되지 않는다 간단히 설명해보면 웹 애플리케이션의 내용을 담아놓은 파일이라는 말이다 웹 애플리케이션이 이해가 어렵다면 웹 프로젝트를 담아놓은 파일을 WAR라고 보면 된다 이걸 왜 쓰냐면 웹 프로젝트를 만들고 배포 시에 프로젝트 폴더째로 전해줄 수가 없으니 웹 프로젝트를 WAR 형태로 Export 시키고 WAR 파일을 넘겨주면 웹 프로젝트 파일을 받는 쪽에서는 받은 WAR 파일로 Import를 하면 웹 프로젝트를 간단히 내 쪽으로 옮겨올 수 있.. 2020. 10. 12.
자바 ||로 split이 되지 않는 이유 자바에서 ||를 기준으로 split을 하려고 했더니 split 기준을 두지 않은 것처럼 한글자만 잘려 나온다 이렇게 나오는 이유가 자바에서 |를 OR 개념으로 인식해서 그런건데 위와 같은 경우에는 \\를 사용해서 문자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 | 앞에 \\를 추가하니 정상적으로 문자로 인식하여 제대로 split이 되는 것이 보인다 예제에 사용한 코드는 아래와 같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a = "AAA||BBB||CCC"; String[] b = a.split("\\|\\|"); // 일반 문자화 System.out.print(b[0] + " " + b[1] + " " + b[2]); } 2020. 10. 11.
자바 어노테이션(Annotation) 개념 및 사용방법 정리 자바에서 어노테이션은 @로 시작하는 값들을 말하는데 클래스, 메소드, 변수 등 여기저기 붙일 수 있지만 메소드 위에 붙여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어노테이션이란 메타 데이터라고 하는데 메타 데이터는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다 하지만 이걸 봐도 뭔 말인지 전혀 이해가 되지 않을 것이다 이해가 쉽게 예를 들어보자면 메소드 위에 어노테이션을 붙여주면 메소드에 특정 옵션을 넣어준다고 보면 된다 예를 들어 method1 위에 @Override를 붙인 것이 보이는데 @Override는 오버라이드(상속받은 메소드를 동일한 이름으로 새로 작성하는 것)를 하지 않을 경우 에러가 발생한다 자바 오버라이드, 오버로드 차이 알아보기 Parent 클래스를 Child 클래스가 상속(extends) 받은 뒤 Child 를 c라는 이.. 2020. 10. 5.
자바 JAR 파일 만드는 법 및 이클립스에서 사용방법 정리 자바에서 JAR는 Java Archive의 약자인데 이게 뭔 말이냐면 클래스 파일들과 해당 클래스에 사용되는 이미지 등을 JAR 안에 넣어놓고 타 프로젝트에서 해당 JAR를 import 하면 JAR에 작성한 클래스들을 뽑아다 쓸 수 있게 된다 자주 보게 되는 예제로는 Oracle과 Java를 연결하는 데 사용하는 OJDBC JAR를 들 수 있는데 기존 자바에는 오라클과 자바를 연결하는 클래스가 없지만 OJDBC라는 JAR를 만들어 자바에서 OJDBC JAR를 import 하면 자바에서 오라클을 컨트롤 할 수 있도록 해 놓았다 즉 오라클과 자바를 연결하려는 사람들은 해당 JAR를 import 하기만 하면 필요한 클래스나 메소드를 OJDBC Jar에서 뽑아다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이클.. 2020. 9.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