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에서 WAR란
Web application ARchive의 약자인데
여러 블로그에서 설명해 놓은 내용을 보니
서블릿, java, html, xml을 포함하고
servlet context를 접근하기 위해 패키지화 기타등등 불라불라
이런 식으로 써 놓아서 전혀 이해가 되지 않는다
간단히 설명해보면
웹 애플리케이션의 내용을 담아놓은 파일이라는 말이다
웹 애플리케이션이 이해가 어렵다면
웹 프로젝트를 담아놓은 파일을 WAR라고 보면 된다
이걸 왜 쓰냐면 웹 프로젝트를 만들고 배포 시에
프로젝트 폴더째로 전해줄 수가 없으니
웹 프로젝트를 WAR 형태로 Export 시키고
WAR 파일을 넘겨주면
웹 프로젝트 파일을 받는 쪽에서는
받은 WAR 파일로 Import를 하면
웹 프로젝트를 간단히 내 쪽으로 옮겨올 수 있게 된다
이제 웹 프로젝트를 WAR 형태로 Export 시키고
내 이클립스 안에 Import 시키는 과정을 알아보자
먼저 웹 프로젝트 하나를 생성한 뒤에
아무 파일이나 하나 만들고
우클릭 > Export를 눌러준다
검색창에 war를 입력해 준 뒤
웹 하단에 있는 WAR file을 선택하고 Next를 누른다
위 화면에서
Destination은 어느 위치에
war 파일을 생성할지를 묻는건데
.war로 끝나기 때문에
내가 원하는 이름으로 war를 생성할 수 있다
Destination을 설정하고 Finish를 누르면 선택한 위치에
war 파일이 생성된 것이 보인다
이제 웹 프로젝트를 web1.war 파일로 Export 했으니
내 이클립스에서 Import 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이클립스에서 프로젝트 위치에서 Import를 눌러준 후
검색창에 war를 입력해서
Web 하단에 있는 WAR file을 선택하고 Next를 누른다
WAR file은 내가 생성한 WAR 파일이 위치한 경로를 묻는거고
Web project는 이 WAR 파일을 가지고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어느 이름으로 할거냐고 묻는거다
두 항목을 채워준 후에 Finish를 누르면
web1 프로젝트를 가지고 export를 한 프로젝트가
web2 프로젝트로 import된 것이 보이는데
파일 구성이 동일한 것이 보인다
왜냐? 동일한 프로젝트를 가지고 Export & Import 했기 때문..
이제 정리해보자면
WAR란 웹 프로젝트를 옮길 때 사용하는 것인데
프로젝트 폴더를 통째로 옮겨주는 것 보다
WAR 파일을 Export 한 후에 넘겨주면
WAR 파일을 Import 하는 것으로
간단히 프로젝트를 옮겨올 수 있기 때문이다
JAR와 비교를 하는 경우도 있는데
JAR는 그냥 자바 클래스 파일들 모아놓은 거라고 보면 되고
자세한 설명은 아래를 참조해주면 된다
'Language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 UUID란? 개념부터 생성, 사용법 정리 (2) | 2020.10.28 |
---|---|
자바 import 예제 및 개념정리 (0) | 2020.10.21 |
자바 ||로 split이 되지 않는 이유 (0) | 2020.10.11 |
자바 어노테이션(Annotation) 개념 및 사용방법 정리 (0) | 2020.10.05 |
자바 JAR 파일 만드는 법 및 이클립스에서 사용방법 정리 (5) | 2020.09.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