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036 오라클 서브쿼리 사용방법 및 예제 오라클에서 서브쿼리(Subquery)는 쿼리 안에 쿼리를 넣는다는 말인데 서브쿼리는 SELECT, FROM, WHERE 중 어디에든 올 수 있다 위 스크린샷과 같이 SELECT 쪽에 서브쿼리가 올 경우 스칼라 서브쿼리(Scalar Subqueries)라 한다 FROM 절에 서브쿼리가 올 경우에는 인라인 뷰(Inline View)라고 한다 마지막으로 WHERE 절에 서브쿼리가 올 경우에는 중첩 서브쿼리(Nested Subqueries) 라고 한다 서브쿼리 설명한 블로그들을 보면 간단한건데 지나치게 어렵게 설명해서 감이 안올 수 있는데 서브쿼리는 그냥 쿼리 안에 쿼리를 넣은 것이고 SELECT, FROM, WHERE 중 어느 위치에 넣냐에 따라 스칼라 서브쿼리, 인라인 뷰, 중첩 서브쿼리로 갈리는 것이다 마.. 2020. 2. 23. 오라클 SQL 바닥부터 실전까지 정리글 오라클에서 테이블 생성부터 펑션, 프로시저까지 글을 쭉 정리해 놨는데 실전에서 오라클 SQL 사용시에도 이 정도면 대부분의 간단한 쿼리를 모두 작성할 수 있을 것이다 집에서 연습 시에는 Dbeaver에 오라클을 연결해 사용하는 걸 추천한다 DBeaver 설치부터 연결, 사용법까지 DBeaver는 돈 내고 써야되는 눈물의 TOAD나 GOLDEN6과 다르게 무료로 사용 가능한 SQL 편집 툴이다 설치 후에 DB 연동까지 빠르게 따라해보자 Download | DBeaver Community Download Tested and verified for MS.. wakestand.tistory.com 오라클에서 주로 사용하는 리스트는 다음과 같다 테이블 생성부터 제약조건 설정까지 오라클에서 테이블을 생성하는 방법과.. 2020. 2. 23. 오라클 between a and b 예제 및 사용방법 오라클에서 between a and b는 특정 범위의 날짜를 조건으로 조회할 때 주로 사용하는데 where 절에서 컬럼명 between a and b 이렇게 사용하면 된다 예제에서는 DATECOL 컬럼 안에 2019-07-13, 2019-01-13, 2020-12-10 세 날짜가 들어있는 것이 보이는데 DATECOL BETWEEN '20190101' AND '20191231' 로 조건을 걸어놓으니 2019년 1월 1일 ~ 2019년 12월 31일 안에 있는 2019-07-13, 2019-01-13일이 조회되는 것이 보인다 예제에서 사용한 코드는 아래와 같다 SELECT DATECOL FROM (SELECT TO_DATE('20190713') AS DATECOL FROM DUAL UNION ALL SELE.. 2020. 2. 20. 그리드 텍스트 왼쪽, 가운데, 오른쪽 정렬 기준 왼쪽(일반) 가운데(글자 수가 동일한 경우) 오른쪽(숫자) 그리드에서 왼쪽, 가운데, 오른쪽 정렬 시 어느 기준으로 정렬해야 할 지 모르겠는 경우가 있는데 대부분은 모두 왼쪽에 정렬하고 바인딩할 글자 수가 모두 동일한 경우 가운데에 숫자의 경우에는 오른쪽으로 정렬한다 2020. 2. 18. 자바 Hashtable 예제부터 사용법까지 자바에서 Hashtable은 Map을 상속받아 Key, Value 형태를 가지게 된다 Key와 Value는 한 쌍으로 사용되며 Key로 식별용 값, Value는 사용할 값을 넣는 식이다 자바 Map 사용법부터 출력까지 일단 Map의 특징을 먼저 알아보자면 Map은 선언 시 로 값을 넣는다 Key와 Map은 한 쌍으로 Key로 식별하고 Value에 사용할 값을 넣는 식이다 여기서 Key는 중복이 불가능하고 동일한 Key 값으로 값을.. wakestand.tistory.com 보면 자주 사용하는 HashMap과 상당히 비슷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완전 똑같은 것은 아니므로 Hashtable과 HashMap을 비교해 보자면 1. HashMap은 동기화(synchronized) 되어 있으나, HashMap은 .. 2020. 2. 17. 자바스크립트 switch 범위 사용방법 예제 자바스크립트에서 switch를 범위로 사용할 경우에는 switch(조건) 을 true로 설정해 준 뒤에 그 안의 case에서 범위를 걸어주면 된다 위 예제에서는 10씩 증가시키면서 10, 20, 30 이하일 때 console.log가 출력되게 했는데 실제 출력 시에는 아래와 같다 마지막으로 switch case를 범위로 사용 시 예제코드는 아래와 같다 2020. 2. 17. 이전 1 ··· 139 140 141 142 143 144 145 ··· 17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