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나 객체를 출력해볼 때
대부분 alert을 많이 사용하는데
간단한 코드나 출력할 내용이 많지 않은 경우에는
alert을 써도 상관이 없지만
수십줄이 들어있는 객체나 여러 내용을 출력할 시에
alert을 사용하면 확인 시 없어지므로 여러번 보다가 까먹고
출력 내용 확인하기가 매우 불편하다
이 경우에 console.log를 사용해서 출력 후 편하게 확인해볼 수 있는데
console.log(값); 을 넣은 뒤에 실행해주면 된다
실행해보니 당황스럽게도 아무것도 없는 것이 보이는데
F12를 한번 눌러주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우측의 . . .을 눌러준 뒤에
Dock side 부분에서 제일 왼쪽에 있는
Undock into separate window를 눌러주면
독립적인 창으로 분할이 된다
이러면 편하게 콘솔창을 볼 수 있다
이후 Console 탭을 눌러보면
자바의 System.out.println 처럼 내용이 찍히며
배열로 담은 경우에는 처음부터 끝까지 배열 인덱스에 무슨 값이 들어있는지
배열의 길이는 몇인지 편하게 파악할 수 있다
예제에 사용한 코드는 아래와 같다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pageEncoding="EUC-KR"%>
<!DOCTYPE html>
<html>
<script type="text/javascript">
// Console.log(값) 이런 식으로 사용
console.log("1234");
var oArray = ["철수", "수철", "하하", "호호"];
alert(oArray); // alert 사용 시
console.log(oArray); // console.log
</script>
<head>
<meta charset="EUC-KR">
<title>Insert title here</title>
</head>
<body>
</body>
</html>
반응형
'Language > HTML,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스크립트 switch 예제부터 사용방법까지 (0) | 2020.02.17 |
---|---|
자바스크립트 =, ==, === 차이 알아보기 (0) | 2020.02.12 |
자바스크립트 변수의 타입 확인방법 (0) | 2020.02.04 |
자바스크립트 String, Int간 변환 방법 (0) | 2020.02.03 |
자바스크립트 split 사용방법 및 예제 (0) | 2020.0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