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036

Mac Terminal vi/vim 문서 상하단 및 특정 줄로 이동방법 문서 최상단 이동 > ESC + gg 문서 최하단 이동 > ESC + G 문서 특정 라인으로 이동 > ESC + 라인수(1..) + G Mac Terminal vi / vim 사용 시 문서의 최상단(시작위치)로 이동하려면 ESC를 누른 후 gg를 눌러주면 되고 최하단(끝)으로 이동하려면 ESC를 누른 후 G를 눌러주면 된다 대소문자를 구분하기 때문에 잘 확인해서 넣어주면 되고 특정 라인 번호로 이동하고 싶을 경우에는 ESC + 라인 번호를 입력한 후 G를 눌러주면 바로 해당 라인 번호로 이동할 수 있다 2022. 6. 8.
Mac Terminal vi/vim 라인 넘버(줄번호) 보이게 하는 방법 라인 넘버 세팅 > ESC 후 set nu 라인 넘버 해제 > ESC 후 set nu! Mac Terminal vi/vim 사용 시 왼쪽에 해당 라인이 몇번째 줄인지 줄 번호를 보이게 하려면 ESC를 누른 후 set nu 를 쓰고 엔터를 눌러주면 왼쪽에 라인 넘버가 나오게 되고 도로 해제하려면 set nu! 를 해주면 처음 상태로 돌아온다 2022. 6. 7.
Postman Workspace 공유방법 포스트맨에서 Workspace를 공유하려면 먼저 Workspaces 를 눌러서 공유하려는 워크스페이스를 선택한 후 우측의 invite를 누르고 공유하려는 상대방의 이메일을 넣어주면 끝이다 2022. 5. 24.
Postman Workspace 공유 설정 변경방법 포스트맨에서 특정 Workspace의 공유 설정을 변경하려면 상단의 Workspaces를 누른 뒤 변경할 Workspace를 선택하고 우측에 보이는 Workspace Settings를 누른 뒤 Visibility 에서 옵션을 변경해주면 된다 Personal은 개인만 보는 용도고 Public은 모두가 볼 수 있는 용도가 되겠다 2022. 5. 24.
Postman Workspace 삭제방법 포스트맨에서 워크스페이스를 삭제하려면 먼저 삭제하려는 Workspace를 Workspaces 탭에서 고른 뒤 우측에 보이는 Workspace Settings를 눌러준 후 Delete Workspace를 눌러 지워주면 된다 (버튼 활성화 안될 경우에는 Visibility를 Personal로 변경) 2022. 5. 24.
자바 Random vs SecureRandom 차이점 정리 Random random = new Random(); random.nextInt(); SecureRandom secureRandom = new SecureRandom(); secureRandom.nextInt(); 자바에서 Random 값이 필요할 때 Random을 사용하는 방법과 SecureRandom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바로 결론부터 가자면 무조건 SecureRandom을 쓰는 쪽을 권장한다 먼저 Random의 비트 수는 48인 반면 SecureRandom은 128이기 때문에 SecureRandom에서 중복값이 나올 확률이 훨씬 적고 Random의 경우에는 2^48 회를 시도하면 사용한 값을 찾을 수 있는데 SecureRandom의 경우에는 2^128 회의 시도가 필요하다 여기에 Random은 .. 2022. 5.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