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036

자바 Concat / + / StringBuilder 성능 차이 정리 자바에서 String에 값을 붙여주는 경우에는 String.concat("값", "값") String + String StringBuilder.append("값") 이렇게 3 방법이 대표적인데 바로 결론부터 가자면 StringBuilder가 가장 빠르고 concat이 가장 느리다 먼저 가장 느린 concat의 경우에는 메소드 호출시마다 String 객체를 새로 만들어서 합친 뒤 반환하기 때문에 메모리를 가장 많이 소모해서 속도가 느리고 + 의 경우에는 JDK 5 이전에는 concat 방식과 동일했다가 JDK 9 부터는 StringBuilder를 사용하도록 바뀌었는데 StringBuilder에서 makeConcatWithConstants 메소드를 호출하여 내장된 6가지 전략 중에 컴파일러가 가장 빠른 방법.. 2022. 7. 6.
Github Repository Fork 방법 Github에서 공개된 Repository의 경우에는 Fork를 사용해서 모든 소스를 내 계정으로 가져와서 개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가져오려는 Repository로 이동한 후 우측 상단의 Fork를 누르고 Create a new fork를 눌러주자 내가 사용할 Repository 명을 설정한 뒤 Create fork를 눌러주면 선택한 Repository를 내 계정으로 가져온 것이 보인다 2022. 7. 5.
자바 Gson JsonObject에 배열 넣는방법 import com.google.gson.Gson; import com.google.gson.JsonObject; public void test() { int[] arr = {1,2,3}; JsonObject jsonObject = new JsonObject(); Gson gson = new Gson(); jsonObject.add("array", gson.toJsonTree(arr)); // {"array":[1,2,3]} } 자바에서 Gson을 사용하는 경우 JsonObject에 배열을 넣어주려는 경우 add 메소드에서 toJsonTree(배열)를 사용해주면 되는데 위 예제를 보면 jsonObject.add("배열", gson.toJsonTree(arr)); 를 사용해주면 배열이 JsonObject .. 2022. 7. 5.
brackets 특수문자 검색(Ctrl + F) 안되는 현상 해결방법 Brackets 사용 시 CTRL + F를 눌러 검색을 하는데 괄호() 와 같은 특수문자를 사용하면 invalid regular expression: /add(/ :Unterminated group 이런 에러가 뜨면서 검색이 안되는데 Brackets 에서 CTRL + F를 누른 후 검색창 우측의 .* 을 부분을 체크해주면 해결이 된다 2022. 7. 5.
git restore / checkout 사용 시 파일 경로 찾는 방법 git 에서 restore 혹은 checkout 명령어를 사용해서 특정 파일을 복구하려고 하는 경우 현재 경로(pwd) 안에 해당 파일이 없으면 위 명령어를 사용할 수 없는데 해결방법은 git status를 입력하면 modified: src/main/resources/application.properties 위와 같이 현재 수정한 파일을 확인할 수 있는데 경로 또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cd 수정한_파일_경로 를 사용해준 뒤 git restore/checkout 파일명 을 사용해주면 된다 2022. 7. 5.
스프링부트 Logger 메소드 내에서 파라미터 지정방법 스프링부트에서 log.info log.debug log.trace log.error 등의 Logger를 사용 시 메소드 내에서 파라미터를 할당해줄 수 있는데 log.info("NAME : {}, AGE : {}", "TEST", 10); >> NAME : TEST, AGE : 10 위 코드 블럭처럼 log 사용 시 출력할 값에 파라미터를 할당할 부분마다 {}를 넣어주고 이후 ,를 추가하며 {} 에 할당할 값을 넣어주면 입력한 {} 순으로 지정한 파라미터가 들어가는 것이 보인다 여기서 {} 갯수에 비해 파라미터를 덜 할당하면 먼저 입력한 {} 부터 채우고 나머지는 {}로 출력한다 2022. 7.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