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anguage/Java133 자바 List 정의부터 출력까지 List는 자바의 자료형 중 하나로 배열과 비슷하지만 결정적으로 다른 점은 1. 크기를 자유롭게 설정 가능 - 배열은 처음 크기를 설정하고 나서부터는 크기 설정이 불가능하지만 리스트는 삽입과 삭제로 원하는대로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2. 배열은 직접 액세스(Direct access), 순차 액세스(Sequential Access) 모두 가능, List는 순차 액세스만 가능 직접 액세스(Direct Access)는 배열의 값으로 바로 접근하는 것을 말하고 순차 액세스는(Sequential Access)는 처음부터 시작해 배열의 특정 값까지 접근하는 것을 말한다 당연하게도 직접 액세스가 훨씬 더 빠르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배열 안에 값을 넣거나 가져올 때는 Array가 List보다 더 빠르다 그러나 엄청.. 2019. 11. 25. 자바 ArrayList, LinkedList 차이 예제로 알아보기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rrayList arrayList = new ArrayList(); LinkedList linkedList = new LinkedList(); // ArrayList add long startTime = System.nanoTime(); for (int i = 0; i < 100000; i++) { arrayList.add(i); } long endTime = System.nanoTime(); long duration = endTime - startTime; System.out.println("ArrayList add: " + duration); // LinkedList add startTime = System.nanoTime().. 2019. 11. 19. 자바 static 변수, 메소드 예제 및 사용이유 static 변수와 메소드를 알아보기 전에 static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를 알아보자면 클래스 영역에 있는 변수와 메소드를 사용하기 위해 객체화를 하고 변수와 메소드를 사용하는 것이 보인다 이번에는 static 변수와 메소드를 사용한 경우인데 객체화를 하지 않고도 바로 변수와 메소드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보인다 이 말은 static을 사용하면 바로 메모리에 할당되기 때문에 객체화를 하지 않고 바로 사용할 수 있다 포인트는 static을 통해 객체화를 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계속 사용하거나 값을 공유하는 경우에 static을 사용해주면 메모리를 덜 소모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제에 사용한 코드는 아래와 같다 // static을 사용하지 않은 예제 public class NonSta.. 2019. 11. 18. 자바 배열 선언 및 초기화 방법 및 예제 자바에서 배열은 처음 배울 때 뭔가 개념이 와닿지 않는데 값을 담을 수 있는 칸을 여러개 판다고 생각하면 된다 엑셀로 한번 만들어 봤는데 변수명 옆에 []를 넣고 = new int[3]을 해주면 int 타입이고 3칸을 가지고 있는 배열이 생성된다 이제 배열을 선언하고 초기화하는 방법들을 예제를 통해 알아보자 배열은 데이터타입[] 배열명 = new 데이터타입[크기]; or 데이터타입 배열명[] = new 데이터타입[크기]; 으로 선언이 가능하다 크기를 3으로 준다면 0부터 시작해서 1, 2까지 총 3칸의 배열이 생성되고 이후 배열의 크기는 변경이 불가능하다 배열명[0] = 10; 이런 식으로 값을 초기화/할당 가능하고 배열의 값을 출력할 때는 배열명[순서]로 출력할 수 있다 배열의 데이터형을 숫자로 선언했.. 2019. 11. 18. 자바 다형성(Polyporhism)이란? & 예제 자바에서 다형성(Polyporhism)은 간단한 개념인데 대부분이 설명을 너무나도 어렵게 해서 쉬운 개념인데도 이해가 힘들다 일단 다형성이란 큰 객체 안에 작은 객체를 넣어서 여러 형태로 변환해 사용하는 것인데 코드를 통해 한번 알아보자 처음 볼 코드는 Human 클래스와, Human 클래스를 상속받는 Cheolsu 클래스다 여기서 큰 개념의 클래스는 Human이고 Cheolsu 클래스는 Human을 상속받기 때문에 작은 개념의 클래스라 볼 수 있다 실제 테스트 시 큰 개념인 Human에 Cheolsu를 넣어 정의할 수 있는데 여기서 껍데기는 Human이지만 안의 내용은 Cheolsu이기 때문에 call 메소드를 호출할 시 Cheolsu Call이 호출되고 Cheolsu에 들어있는 Status 메소드는 .. 2019. 11. 12. 자바 Error Exception 차이 정리 Exception(예외) 예외는 실행 도중 중단될 정도로 큰 문제가 아닐 때 발생하는 것으로 Checked Exception, Unchecked Exception 두 종류의 예외가 존재하는데 Checked Exception는 실행하기 전에 예측 가능한 SQLException이나 FileNotFoundException 등을 말한다 Unchecked Exception는 실행하고 난 후에 알 수 있는 ArrayIndexOutOfBoundException, NullPointerException 등을 말한다 Exception은 예외처리가 가능한데 try {} catch(){}, throws, throw 이렇게 세 방법으로 가능하다 방법은 아래를 참조해주면 된다 자바 예외처리 종류 및 예제 위 스크린샷의 내용은 i.. 2019. 11. 11.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