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rror & Fix172

내 컴퓨터 IP 바로 확인하는 방법 먼저 윈도우 버튼을 누르고 CMD를 입력한 뒤에 엔터를 치면 위와 같은 명령 프롬프트가 뜨게 되는데 여기서 ipconfig를 입력해 주면 Windows IP 구성 하면서 밑으로 쭉 나오는데 이더넷 어댑터 이더넷: 부분에 나오는 IPv4 주소가 내 IP를 말한다 2020. 2. 2.
파이썬 Method '메소드명' may be 'static' 에러 해결하기 클래스에서 함수를 작성하다가 Method '메소드명' may be 'static' 이라고 경고문이 뜨는 것이 보이는데 이게 무슨 말이냐면 해당 메소드에서 클래스의 변수같은 클래스에서 정의한 값을 사용하지 않는데 그냥 밖에 static으로 빼서 쓰지 뭣하러 클래스 안에 넣었음? 이런 말인데 에러를 해결하려면 생성자에서 정의한 값이라던지 클래스 내에서 정의한 값을 메소드 내에 넣어주면 에러가 없어진 것이 보인다 2020. 1. 27.
파이썬 문자와 숫자 합쳐 출력하는 방법 파이썬에서 문자와 숫자를 합쳐 출력하려고 하는 경우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는데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C:/Users/MyRealm/PycharmProjects/untitled/ContactExample.py", line 4, in print(numberVariable + "입니다") TypeError: unsupported operand type(s) for +: 'int' and 'str'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C:/Users/MyRealm/PycharmProjects/untitled/ContactExample.py", line 5, in print(stringVariable + 20) TypeE.. 2020. 1. 19.
파이썬 ValueError: 값 is not in list 에러 해결방법 파이썬에서 ValueError: 값 is not in list 에러는 리스트 안에 '값' 없을때 발생하는 에러인데 보면 listVariable 안에는 9, 1, 3, 4가 들어있는데 선언 후 실행 코드는 리스트 안에 45라는 값이 인덱스 몇번째에 있는 문장이다 여기서 리스트 안에 45라는 값이 없기 때문에 45라는 값이 리스트 안에 없는데요? 이렇게 에러가 뜨는 것이다 2020. 1. 13.
파이썬 IndexError: list index out of range 해결방법 파이썬에서 리스트를 만들고 실행 시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C:/Users/MyRealm/PycharmProjects/untitled/ListExample.py", line 3, in print(listVariable[5]) IndexError: list index out of range 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1 이런 에러가 뜨는 것이 보이는데 IndexError: list index out of range 에러는 list 범위 밖에 있는 인덱스를 가져오려고 해서 에러가 난 것이다 listVariable에는 9, 1, 3, 4가 들어있는데 리스트의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0, 1, 2, 3까지 있는데 5번째 인.. 2020. 1. 13.
파이썬 Function call can be replaced with set literal 해결방법 파이썬에서 setTest 안에 set([1, 2, 3, 4])를 넣어주려고 하니 Function call can be replaced with set literal 이런 내용이 뜨는 것이 보인다 보면 에러는 아닌데 set 함수 쓰지말고 {} 쓰라는 얘기다 근데 왜? set 함수를 쓰지 않고 {}로 해결하는 것이 속도가 훨씬 빠르기 때문이다 테스트로 사용한 코드는 아래를 참조해주면 된다 import timeit setTest = set([1, 2, 3, 4]) print(timeit.timeit('setVariable = set([1, 2, 3, 4])')) print(timeit.timeit('setVariable2 = {1, 2, 3, 4}')) 2020. 1.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