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바에서 NULL 혹은
공백, 띄어쓰기만 있는 항목이 들어올 경우
isblank를 사용하면 null을 확인할 수 없고
== null을 사용하면
반대 경우의 문제가 생기는데
굳이 메소드를 따로 만들어서 사용하느니
스프링의 경우에는
import org.springframework.util.StringUtils;
class명 {
public method {
StringUtils.hasText(값);
}
}
StringUtils.hasText(값); 을 사용하면
값이 있을 경우에는 true를 반환하고
공백이나 NULL이 들어올 경우에는
false를 반환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명세는 아래 링크를 확인해주면 되겠다
StringUtils (Spring Framework 5.3.19 API)
Check whether the given CharSequence contains actual text. More specifically, this method returns true if the CharSequence is not null, its length is greater than 0, and it contains at least one non-whitespace character. StringUtils.hasText(null) = false S
docs.spring.io
반응형
'Spring Framework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부트 application.yaml 값 변수로 가져오는 방법 (0) | 2022.06.15 |
---|---|
스프링부트 Gson 세팅방법 정리(Gradle/Maven) (0) | 2022.05.15 |
JsonArray Thymeleaf Table에 출력하는 방법 (0) | 2022.02.09 |
@RequestBody 여러개 사용방법 (0) | 2022.02.08 |
스프링부트 @RestController return HTML로 받는 방법 (0) | 2021.1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