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Github 또는 Gitlab에서 Tag 기능을 보고
뭔 기능이지 싶은 경우가 있을텐데
Tag를 만들 경우 선택한 Branch를
태그를 작성한 시점의 Commit으로
따로 만들어서 보관을 하게 된다
Branch 자체는 다른 사람들이
계속 Commit을 하면서 내용을 변경할 수 있으나
Tag를 한번 만들어 놓으면
해당 Branch의 Tag는 작성 시의
Commit 시점으로 계속 유지가 된다
즉 Tag를 만들면 해당 태그의 소스는
Branch에서 Commit이 이루어져도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는 거다
따라서 실제 운영하는 서비스에 개발한 내역을 배포할 때
배포할 Master Branch의 Tag를 만들어 놓은 후
해당 태그를 가지고 배포를 진행하게 된다
반응형
'기타 개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에서 띄어쓰기는 탭/스페이스 중 뭘 써야되나? (0) | 2021.10.26 |
---|---|
STS와 이클립스의 차이점은? (0) | 2021.10.22 |
DB Delete 시 Limit을 걸어야 하는 이유 (0) | 2021.06.02 |
하드코딩 소프트코딩 뜻부터 예시 정리 (0) | 2021.03.12 |
개발환경 Local Test Stage Product 차이 정리 (0) | 2021.03.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