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DBeaver, TOAD와 같은 SQL Editor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는 방법은
Direct(Basic), TNS 두 방법이 있는데
처음에는 시키는대로 TNS를 사용해 접속하지만
어떻게 접속하던 차이는 없다
그냥 접속 방법이 다른 것이다
먼저 위의 화면은 Direct의 경우인데
내 DB의 ip 주소인 Host
DB의 Service Name 혹은 SID를 입력하고
하단에 username과 password를 사용해서
접속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집에서 혼자 사용할 경우에는 대부분
Host를 localhost로 입력해 사용하게 된다
다음은 TNS를 이용한 접속방식인데
DB 접속관련 정보를 담아둔
tnsnames.ora 파일을 불러오면
파일 안에 IP 주소부터
SID 혹은 Service Name이 들어있기 때문에
ID와 PW만 입력해 주면 바로 접속이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접속한다는 것은 똑같은데
왜 대부분 TNS를 사용하느냐?
IT 프로젝트의 경우는
대부분 몇십~몇백명이 DB에 접속하는데
Direct로 맞추고 있으면 수작업이지만
tnsnames.ora 파일은 하나 만들어 두고
ID/PW와 공유하면서 사용하면
꽤 시간 절감이 되고
이후 접속정보가 바뀐다고 해도
tnsnames.ora 파일만 공유하면 되기 때문에
TNS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다
반응형
'SQL > Ora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라클 INTERSECT 예제 및 사용방법 (0) | 2020.10.25 |
---|---|
오라클 MINUS 예제 및 사용방법 (0) | 2020.10.25 |
오라클 중복 값 확인방법 (0) | 2020.08.22 |
오라클 tnsnames.ora 개념부터 샘플 설정 위치 정리 (0) | 2020.08.18 |
오라클 NOT, OR를 이용한 특정 조건 제외 후 조회방법 (0) | 2020.06.30 |
댓글